1.맥락의 개념
(1)말이나 글을 이해하고 표현할 때 고려해야 할 상황 요소나 사회 문화적 요소
(2)텍스트의 표현과 해석에 관여해서 의미를 명확하게 함과 동시에 새롭게 텍스트의 의미를 형성하는 데에 관여하는 이론적이며 심리적인 활성화된 지식
(3)주체가 활용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 언어적,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지식이나 요소의 관계에 대한 정보
2.맥락의 위상
(1)2009년 개정 문학 교육과정에서는 ‘내용’에서 ‘맥락’범주를 설정하여 중요하게 다루고 있지만 2011년개정교육과정에서는 ‘맥락’을 ‘지식’범주‘에 포함하여 다루고 있다.
(2)문학작품을 그 자체만이 아니라 관련되는 다양한 맥락에서 섬세하게 읽고 이해 감상 평가 할 수 있는 것은 문학 수용 능력의 주요 부분이다
(3)작품의 이해 감상 평가는 수용자가 작품의 문면에 유의하면서 작품에 작용하는 다양한 맥락을 함께 고려할 때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3.맥락의 활용방안
(1)맥락은 작품의 섬세한 읽기 과정에서 그 근거가 확보되어야 한다.
(2)맥락 자체를 가르치기보다는 맥락을 활용하여 지식과 기능을 가르치게 된다.
(3)지식과 기능과 맥락의 관계- 지식과 기능이 가르쳐야 될 핵심적 요소이고 맥락은 이것을 지원하는 지식이다.
(4)맥락의 활용이 텍스트의 생산과 해석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맥락의 활용방법이나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차원으로 접근 할 필요가 있다.
4.문학 감상에서 고려해야 할 맥락의 하위요소
(1)사회 문화적 맥락:문학 텍스트에 반영된 당대의 사회 문화적 요소
①텍스트 내의 사회 문화적 맥락과 텍스트 밖의 사회 문화적 맥락은 다를 수도 있다.
②독자와 동시대의 작가가 쓴 문학은 작가와 독자가 사회문화적 상황을 공유하지만 지난 시대의 문학이나 고전문학은 사회 문화적 상황을 고유하기 어렵다.
(2)문학사적 맥락: 하나의 텍스트가 나타나게 된 전시대의 문학사적 배경이나 영향 관계, 주로 통시적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다.
(3)다양한 상호텍스트적 맥락:하나의 텍스트와 작가, 구조(내용,형식, 표현),세계,독자의 관점에서 주고받은 영향 관계로 주로 공시적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다.
※2011개정교육과정-국어<문학>
(6)사회 문화 역사적 상황을 바탕으로 작품의 의미를 파악한다.
한편의 문학 작품은 사회 문화 역사적 상황을 바탕으로 창작된다. 사회 문화 역사적 상황은 작품에 직접 드러날 수도 있고 작품 창작의 배경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런 점을 고려 할 때 사회 문화 역사적 상황에 대해 작품의 창작 배경으로 접근하는 방법,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사건과 관련디어 접근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의 말과 행동, 인물들 간의 관계, 다양한 사건 등을 통해 사회 문화 역사적 상황을 파악하도록 하며, 이를 바탕으로 작품 전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2007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국어<문학>
[7-문학-(3)]역사적 상황이 문학 작품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해한다.
[8-문학-(4)]문학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행동을 사회 문화적 상황과 관련지어 파악한다
[9-문학-(2)]문학 작품에 나타난 사회 문화적 상황과 관련지어 창작동기와 의도를 파악한다
-출처: 최명해<문학교육론>,교육과정해설서-
'국어 개념 노트 > 개념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작소설2(이문구 '우리 동네') (0) | 2022.06.14 |
---|---|
연작소설1(이문구 '관촌수필') (0) | 2022.06.13 |
문학의 수용 (0) | 2022.06.10 |
야담 / 한문소설과 국문소설 비교 (0) | 2022.06.02 |
봉산탈춤(미얄과장)의 미적가치와 사회문화적 맥락 (0) | 2022.06.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