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의 기능
배경의 개념
(1)소설 속에서 인물이 활동하고 사건을 벌이는 구체적인 시간과 공간이다.
(2)작품이 창작될 때의 시대적 사회적 배경이다.
(3)배경은 이야기를 구성하는 필수적인 자질일 뿐만 아니라 이야기의 심미성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인이다.
(4)환경이라고도 하며 주로 묘사에 의해 나타난다.
배경의 구성요소
1.시간
1)인물이 행동하고 사건이 일어나는 기간이나 시대를 말한다.
2)배경의 중점을 시간에 둔 소설은 주로 시간의 순서에 따라 사건이 발생하고 주인공의 운명이 변화해 나가는 것을 그린다.
2.공간
1)행동과 사건이 일어나는 자연화경이나 생활환경을 말한다
2)배경의 중점을 공간에 둔 소설은 시간 의식이 불분명한 대신 환경과 갈등 관계에 있는 인물의 성격을 그린다.
3.시간과 공간이 지닌 의미의 파악
배경은 그 자체보다 그것이 지닌 의미를 이해해야 주제와의 관련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배경의 종류
한작품에 여러 배경이 나타난다. 중심 배경과 세부 배경으로 나누어 이해한다. 주인공의 행위가 여러 가지 이어져 사건을 이루며 사건에 따라 배경이 나타난다.
1.자연적 배경
1)자연적 배경은 인물의 행동이 발생하는 구체적 시간과 공간이다.
2)시간으로는 시기와 계절적 배경이며 공간으로는 크게는 나라나 지역, 작게는 마을과 전답, 숲이나 집, 공항, 병원, 공장, 감옥, 백화점, 지하철역 등이 모두 자연적 배경이다.
3)자연적 배경은 자연 상태 그대로의 환경과 인공적 건조물의 환경을 모두 포함한다.
4)일정한 분위기와 정조를 만들어 낸다.
2.사회적배경
1)인간이 사회를 이루고 살고 있다는 점에서 정치,종교,경제,문화는 물론 직업, 계층,세대, 연령 등의 문제와 시대적 상황까지도 포함한다.
2)소설의 주제를 부각시키고, 인물의 성격과 심리, 구성의 전개, 소설적 분위기의 조성에 알맞도록 꾸며진다.
배경의 기능
1)주제형성에 기여한다.
2)인물과 행동의 신빙성을 높여주며 주인공의 의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그래서 인물의 행동이나 사건의 전개에 기본적인 제약 조건이 된다.
3)인물의 심리 상태나 사건의 전개를 암시한다.
4)배경이 사건이나 장면의 현장감을 유발하기도 하고 배경 그 자체로서 상징적인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5)일정한 분위기나 정조를 만들어 낸다.
※개정교육과정 국어 <문학>
(6)시회 문화 역사적 상황을 바탕으로 작품의 의미를 파악한다.
한 편의 문학 작품은 사회 문화 역사적 상황을 바탕으로 창작된다. 사회 문화 역사적 상황은 작품에 직접 드러날 수도 있고 작품 창작의 배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사회 문화 역사적 상황에 대해 작품의 창작 배경으로 접근하는 방법,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사건과 관련지어 접근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의 말과 행동,인물들 간의 관계, 다양한 사건 등을 통해 사회, 문화,역사적 상황을 파악하도록 하며 이를 바탕으로 작품 전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출처: 최병해<문학교육론>,중학교 교육과정해설서
'국어 개념 노트 > 개념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영웅소설 정리 (0) | 2022.04.27 |
---|---|
연암소설 특징 정리 (한국문학통사3 발췌) (0) | 2022.04.26 |
문학과 자아성찰 (0) | 2022.04.25 |
반응중심수업모형 (0) | 2022.04.25 |
속성중심의 문학관과 문학교육 (0) | 2022.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