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연작소설 4(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조세희의 작품 배경이 되는 시대적 상황 [서울신문]소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도입부에는 이런 대목이 나온다.‘천국에 사는 사람들은 지옥을 생각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우리 다섯 식구는 지옥에 살면서 천국을 생각했다.…우리의 생활은 전쟁과 같았다. 우리는 그 전쟁에서 날마다 지기만 했다.’ 1970년대 고도성장 신화의 그늘에서 신음하는 도시 빈민의 삶을 조명한 조세희(63) 작가의 연작 소설집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난쏘공)이 200쇄를 넘겼다.1978년 초판 발행 이후 27년간 87만부가 팔려나갔다. 나오자마자 100만부를 훌쩍 넘기는 책들이 적지 않은 요즘이지만 ‘난쏘공’의 이 숫자는 지난 30년간 앞만 보고 숨가쁘게 달려온 우리 사회의 이면을 돌아보게 하는 의미있는 기록이다. 1일 .. 2022. 6. 14.
연작소설3(양귀자 '원미동 사람들') 양귀자의 1985년부터 1987년까지 연작의 형식으로 발표한 단편소설들을 모아 1992년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한 소설집. 「멀고 아름다운 동네」부터 「한계령」에 이르는 총 11편의 단편들이 연작의 형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이 작품은 작가가 살았던 부천시 원미동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그곳에서 살고 있는 다양한 인물들의 삶을 각각의 단편들의 중심인물 혹은 주변인물로 등장시키고 있다. 변두리 도시의 특성대로 드나드는 사람이 많고 머물러 있는 시기가 짧은 동네인 만큼 그곳에서 사는 사람들의 모습과 태도 등도 다양하다. 「마지막 땅」의 강만성 노인처럼 시가 몇 억짜리 땅을 농사를 짓기 위한 공간으로만 여기는 인물이 등장하는가 하면 그에게 땅을 비싼 값에 팔 수 있다고 설득하는 고흥댁과 박씨, 그리고 강 노인의 아.. 2022. 6. 14.
연작소설2(이문구 '우리 동네') 이문구 '우리 동네' 공업화 과정에서 생존기반을 상실한 농촌의 현실을 그린 이문구(李文求)의 연작소설. '우리동네' 1977년~1981년에 발표된 연작소설이다. 이 소설은 작가가 1977년부터 경기도의 한 농촌지역에서 생활하면서 발표하기 시작한 중단편들의 모음이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1970년대의 산업화 과정에서 빚어진 농촌의 소외문제와 농민들의 갈등, 전통적 질서의 해체화 과정 등을 풍자적 시각으로 그려내는 가운데 농촌문제의 심각성과 갱생의 변증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농촌문제의 총괄적인 보고서라고도 할 수 있는 이 연작소설은 《우리동네 김씨》라는 작품을 시작으로 《우리동네 이씨》 《우리동네 최씨》 《우리동네 황씨》 《우리동네 정씨》 《우리동네 장씨》 《우리동네 조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2022. 6. 14.
연작소설1(이문구 '관촌수필') 이문구의 1970년대 변화하는 농촌의 모습 1960년대 이후 한국사회의 산업화과정에서 공업 우선 정책에 의해 희생된 것은 농업부문과 농촌과 농민이다.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농촌 중심의 공동체적 사회 구조가 무너지고,여러 가지 농촌 문제들이 생겨났다. 도시와 농촌 사이의 발전 격차가 커짐에 따라 일상적인 생활이나 문화 수준에서 농촌은 도시에 비해 뒤떨어져 갔다. 이로 인해 많은 젊은이들이 도시로 옮겨가 농촌 인구 중 노인이나 부녀자의 비율이 점차 높아졌다. 교육이나 혼인 등의 문제도 농촌 사회가 당면한 과제였다. 농촌 문제가 커져 가자 역대 정부는 농촌을 도시와 함께 균형 있게 발전시키겠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4H운동이나 새마을 운동도 그 일환이었다. 1970년대에 시작된 새마을 운동은 근면,자조,협.. 2022. 6. 13.
사회문화적 맥락을 통한 수용 1.맥락의 개념 (1)말이나 글을 이해하고 표현할 때 고려해야 할 상황 요소나 사회 문화적 요소 (2)텍스트의 표현과 해석에 관여해서 의미를 명확하게 함과 동시에 새롭게 텍스트의 의미를 형성하는 데에 관여하는 이론적이며 심리적인 활성화된 지식 (3)주체가 활용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 언어적,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지식이나 요소의 관계에 대한 정보 2.맥락의 위상 (1)2009년 개정 문학 교육과정에서는 ‘내용’에서 ‘맥락’범주를 설정하여 중요하게 다루고 있지만 2011년개정교육과정에서는 ‘맥락’을 ‘지식’범주‘에 포함하여 다루고 있다. (2)문학작품을 그 자체만이 아니라 관련되는 다양한 맥락에서 섬세하게 읽고 이해 감상 평가 할 수 있는 것은 문학 수용 능력의 주요 부분이다 (3)작품의.. 2022. 6. 11.
문학의 수용 ①내용, 형식, 표현의 유기적인 연관을 고려하여 작품을 수용한다. 문학은 내용, 형식 표현이 유기적으로 결합한 미적구조물이다. -내용:인간 및 인간의 삶과 관련된 주제의식 -형식:문학적으로 형성된 문학 고유의 체계와 관습 -표현:관습을 따르기도 하면서,발상의 참신함과 표현과정에서의 창의성 →작품 자체를 하나의 언어예술로서 심미적으로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어야 온전한 수용에 이를 수 있다. ②섬세한 읽기를 바탕으로 작품을 다양한 맥락에서 이해하고 감상하고 평가한다. *섬세한 읽기 : 개별작품의 특징적인 요소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 요소들의 효과와 의미를 따져가며 전체와 부분의 관계를 충분히 고려하며 읽는 것 예)‘껍데기는 가라’ - 껍데기와 알맹이의 대립구조 파악, 화자의 의지적 태도 파악, 명령적 어조 파.. 2022. 6. 10.
야담 / 한문소설과 국문소설 비교 1. 야담 [김흥규, 132쪽] 야담에 자주 등장하는 문제들을 간추려 보면, 부(富)의 축적, 사람의 본능적 욕구, 세속적 이해관계, 낡은 신분질서의 붕괴, 주인-노비(奴婢) 사이의 갈등, 도덕과 사기꾼들, 시정인들의 생활상, 특이한 삶을 살아간 기인(奇人)·일사(逸士)들, 세태에 대한 풍자와 해학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런 내용들은 중세 사회 해체기에 있어서 다양한 현실 체험이 야담의 주요 관심사로 포용된 결과이다. 한문소설의 범주에서 주목되어 온 박지원의 , 등과 이옥(李鈺), 김려 등의 전(傳)들도 이러한 야담류의 바탕에 힘입 바 있으리라 생각된다. 다만 여기서 한 가지 덧붙여 둘 것은 야담이 조선 후기 문학의 역동성에 참획(계획에 참여함)하는 활력을 지녔다는 점은 분명하다 해도, 전반적으로 사대부.. 2022. 6. 2.
봉산탈춤(미얄과장)의 미적가치와 사회문화적 맥락 봉산탈춤(미얄과장)의 미적가치와 사회문화적 맥락 - 봉산탈춤은 황해도 봉산군에서 전승되던 가면극으로, 전체 7과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과장들은 이야기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주제별로 된 몇 개의 드라마가 옴니버스 형태로 한 테두리 안에 들어 있다. 난리통에 헤어진 미얄과 영감이 놀이판에서 서로 만나는 데서 시작되는 제7과장 ‘미얄춤’은 봉산탈춤의 마지막 과장으로 앞의 6개의 과장과는 별개의 것으로 일종의 여흥 놀이이다. 다른 과장과는 달리 풍자의 대상이 되는 양반 계층이나 승려와 같은 비교적 신분이 높은 인물은 등장하지 않고 삶의 터전을 잃고 유랑하는 서민의 모습을 대변하는 허름한 영감과 할미가 등장하여 서민의 생활과 의식을 보여 준다. 이 과장에서는 영감의 횡포에 의하여 비극적 결말을 .. 2022. 6. 2.
심청전(feat 판소리계 소설) 1. 판소리계 소설의 특질 - 다양한 근원 설화를 바탕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형성되었다. - 일반 고소설이 산문체로 되어 있는데 반해, 판소리계 소설은 4음보의 율문체이다. - 청중을 염두에 두고 묘사적이고 사실적인 표현을 함으로써 장면 극대화 현상과 부분의 독자성이란 특징을 갖는다. - 우리 나라의 한 지방을 배경으로 하여 민속, 생활상 등을 잘 표현하고 있다. - 긴장-이완의 서사적 구조로 짜여 있으며, 구성의 전개는 극적이고 단일하다. - 당시의 각 계층을 대표하는 인물들의 성격을 전형적으로 잘 표현함으로써 등장 인물을 생동감 있게 창조하고 있다. - 주제에 있어서 당시에 성장된 민중 의식과 체제 저항적인 면을 반영하고 있다. - 지배 계층의 횡포성과 부패성을 폭로하고 그들의.. 2022.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