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현대문학의 시대적 상황 정리 출처: 교육과정해설서(09개정) (가) 한국문학의 범위와 역사 (271p) ① 한국문학의 개념, 영역, 갈래, 역사를 이해한다. 이 내용은 한국문학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위해 설정하였다. 한국문학이 무엇이며,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오늘날의 한국문학의 생산과 수용에 참여하고, 미래의 한국 문학을 창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기본이 된다. 이 내용의 세부 내용은 한국 문학의 개념 이해하기, 한국 문학의 영역 이해하기, 한국문학의 갈래 이해하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들 내용을 학습할 때에는 기본적인 지식을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나) 문학과 공동체 (276p) ① 문학을 통하여 사회, 민족, 역사, 자연 등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와 연대의식을 가진다. 문학을.. 2022. 5. 2.
소설가 채만식 정리 소설가 채만식 정리 1. 문학적 특징 (출처: 김윤식 외, 현대문학사) ① 리얼리즘 정신 - 채만식 문학의 기조는 ‘아이러니’로 부정적 인물을 전면에 내세우고 긍정적 인물을 후면에 세우거나 전면에 내세운 부정적 인물의 희화화를 통해 얻어진다. 부정적 인물 뿐 아니라 부정적 인물의 희화화도 이루어지는데 이는 주관적이고 사회적 풍자로 볼 수 있다. 때문에 작가의 판단의 자의성이나 마구잡이식 요설이라는 문제점을 갖을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대상에 대한 정밀한 관찰의 분석이다. 이를 통해 리얼리즘 정신을 확인할 수 있다. ② 풍자소설 당시 풍자소설에 대한 논의가 많았으나, 채만식의 작품과 김유정의 작품이 성과로 인정받는다. -채만식은 부조리한 시대 현실이나 부정적인 인물을 풍자함으로써 당대에서 무.. 2022. 4. 28.
여성영웅소설 정리 여성영웅소설 여성영웅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해보았다. * 영웅의 일생을 후대가지 이어온 서사무가를 보면 전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유형 의 주인공은 여자이다. 그런 전통을 바로 이으면서 더욱 고형인 요소까지도 지닌 여성 주인공의 영웅 소설이 적지 않다. (한국문학통사) * : 바리공주는 일곱째 딸로 태어났다는 이유로 옥함에 넣어 버려지는 신세가 되었으나 구출, 양육자를 만나 살아나고, 저승에 가서 약수를 길어다가 병이 들어 위독하게 된 아버지를 구했다고 한다. 가련한 여성이 죽음을 삶으로 바꾸어 놓는 특별한 권능이 있어 숭앙의 대상이 되었다. * 군담소설에는 여장군의 등장이 주목되는데 주로 여성이 남복을 입고 변장하여 전장에 나가 싸워 큰 공을 세우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여장군의 등장은.. 2022. 4. 27.
연암소설 특징 정리 (한국문학통사3 발췌) 연암소설의 특징 탄탄한 철학에 근거한 이론 ① 박지원은 한문학에서 요구하는 명문의 요건을 최대한 갖추면서 뒤집었다. 중세문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수련을 철저하게 하고 자기혁신을 이룩해 근대문학에 다가왔다. 철학에 근거를 두고 다진 이론은 창작과 밀접하게 연관시킨 수준은 그 뒤의 어느 누구도 따르지 못했다. (통사3, 217) 연암소설의 작품들 ② 흔히 연암소설이라고 일컫는 박지원의 작품은 야담집 속의 단편들과 함게 다루기 어려운 점이 있다. 박지원은 야답집을 엮지 않았고, 작품이 야담집에 실려 있는 것도 아니다. 해당 작품 9편 가운데 7편은 의 이라는 곳에 모아놓은 전(傳)이고, 2편은 에 넣었다. 박지원은 과거를 보아 쉽사리 진출할 수 있는 위치에서 이탈해, 세상에 대한 불만 때문에 불우하게 지내면서 .. 2022. 4. 26.
[문학]배경의 기능 배경의 기능 배경의 개념 (1)소설 속에서 인물이 활동하고 사건을 벌이는 구체적인 시간과 공간이다. (2)작품이 창작될 때의 시대적 사회적 배경이다. (3)배경은 이야기를 구성하는 필수적인 자질일 뿐만 아니라 이야기의 심미성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인이다. (4)환경이라고도 하며 주로 묘사에 의해 나타난다. 배경의 구성요소 1.시간 1)인물이 행동하고 사건이 일어나는 기간이나 시대를 말한다. 2)배경의 중점을 시간에 둔 소설은 주로 시간의 순서에 따라 사건이 발생하고 주인공의 운명이 변화해 나가는 것을 그린다. 2.공간 1)행동과 사건이 일어나는 자연화경이나 생활환경을 말한다 2)배경의 중점을 공간에 둔 소설은 시간 의식이 불분명한 대신 환경과 갈등 관계에 있는 인물의 성격을 그린다. 3.시간과 공간이 지.. 2022. 4. 26.
문학과 자아성찰 문학과 자아 성찰 문학에서의 인간 탐구 문학의 본령은 인간을 탐구하는 것이다. 그 시선이 비극적일 수도 있고 해학적일 수도 있지만, 문학은 궁극적으로 인간에 대해 묻고, 의미있는 삶에 대해 이야기한다. 문학을 통해 우리는 남을 이해하고 나 자신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어릴 때에는 ‘흥부와 놀부’이야기에서 선과 악을 배우고, 조금 커서는 생 텍쥐페리의 ‘어린 왕자를 읽으며 인간이 맺는 관계에 대해 생각해 본다. 더 자라면, 할아버지와 아버지와 아들의 시대에 대한 대응이 다를 수밖에 없음을 염상섭의 ’삼대‘를 통해 확인하고, 정철의 ’관동별곡에 나타나는 한 인간의 양면성이 보편적인 인간의 모습임을 깨닫게 된다. 이렇듯 우리는 문학 작품을 읽으면서 그 내용을 내면화하고, 자신의 삶에 대해 성찰하면서 내면세.. 2022. 4. 25.
반응중심수업모형 반응중심수업모형 1. 개괄적 소개 반응 중심 교수 학습방법이란 학생들이 문학 경험에 대한 자신의 반응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게 하는 것을 중시하는 교수 학습 방법이다. 반응 중심 교수 학습 방법은 주입식, 암기식 문학교육에 대해 비판하던 시점에서 문학작품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중시하는 교수 학습법으로 소개되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았다. 예전의 문학교육은 오랫동안 지식중심의 문학교육, 그것도 문학을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한 방법이나 원리로서 역할을 하지 못하고 단순 지식 중심, 주입식 교육이 이루어지면서 여러관점에서 비판을 받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1990년대 초, 작가와 텍스트 중심의 문학교육에서 독자 반응 중심의 문학교육으로 방향전환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2. 반응중심 수.. 2022. 4. 25.
속성중심의 문학관과 문학교육 속성중심의 문학관과 문학교육 속성중심 문학관과 문학교육에 대한 개념 정리를 하겠다. [속성중심의 문학관] 속성중심의 문학관이란 문학을 설명하는 중점을 문학의 특수한 성질에 두는 관점이다. 문학의 구체적인 모습인 개개의 작품 또는 그 집합보다 문학을 이루는 본질에 대하여 주목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문학 일반이라는 총체적인 대상을 설명하고자 하는 관점이다. 속성은 ‘사물이나 현상의 본질을 이루는 성질’을 가리키므로, ‘그것이 없이는 그 사상을 생각할 수 없게 되는 조건‘이 된다. 다라서 속성은 그것과 그것 아닌 것, 즉 문학(文學)과 비문학(非文學)의 구별을 가능하게 해 주며, 그것의 본질을 드러내 이해하게 해 주고, 나아가 그것의 의미를 천착할 수 있게 해 주는 성질이다. 속성 중심의 문학교육은 문학 작품.. 2022. 4. 25.
성장소설의 특징 ▣성장소설의 특징 1. 인물의 측면 성장소설의 주인공은 아직 성인기에 입문하지 않은 어리고 미성숙한 존재이다. 성장소설은 주인공의 성장기를 한정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성장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는 소설이라 할지라도 주인공이 성인일 경우에는 성장소설이라 할 수 없다. 또한 성장소설은 미성숙한 어린 인물이 성숙의 단계로 나아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기 때문에, 그 인물은 끊임없이 변해가는 동적인 이미지를 갖는다. 2. 내용의 측면 성장소설은 미성숙한 주인공의 성장 모습을 보여준다. 주인공은 기존의 미숙하고 비합리적인 세계에 대한 인식에서 벗어나 성숙하고 합리적인 세계 인식을 하게 되며, 유년의 순수하고 무지한 세계에서 벗어나 성인의 선과 악이 공존하는 현실 세계를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성숙으로의 진입은 하.. 2022.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