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소설의 특징
1. 인물의 측면
성장소설의 주인공은 아직 성인기에 입문하지 않은 어리고 미성숙한 존재이다. 성장소설은 주인공의 성장기를 한정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성장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는 소설이라 할지라도 주인공이 성인일 경우에는 성장소설이라 할 수 없다. 또한 성장소설은 미성숙한 어린 인물이 성숙의 단계로 나아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기 때문에, 그 인물은 끊임없이 변해가는 동적인 이미지를 갖는다.
2. 내용의 측면
성장소설은 미성숙한 주인공의 성장 모습을 보여준다. 주인공은 기존의 미숙하고 비합리적인 세계에 대한 인식에서 벗어나 성숙하고 합리적인 세계 인식을 하게 되며, 유년의 순수하고 무지한 세계에서 벗어나 성인의 선과 악이 공존하는 현실 세계를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성숙으로의 진입은 하나의 계게를 매개로 하는데, 그 계기란 바로 죽음과 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 혹은 사회나 인간의 구조적인 악에 대한 환멸, 사회의 여러 가치들로부터의 일탈과 그로 인한 혼돈 체험 등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성장소설은 결말의 내용이 중요한 소설 유형이다. 성장소설은 처음의 결핍, 불완전, 미숙의 상태에서 충족, 완전, 성숙의 상태로 나아가며, 작품의 끝이 어떻게 종결되느냐에 따라 주인공의 운명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결말의 강도는 성장의 강도와 비례하기도 한다.
3. 구성의 측면
탐색담과 통과의례에 바탕한 입사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선 성장소설은 주인공이 미성숙에서 성숙으로 나아갈 때 능동적인 탐색에 의해 이루어진다. 성장소설은 민담의 탐색담처럼 시련을 딛고 나아가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구조상의 유사성이 있지만 민담의 탐색담들이 물리적이고 현시적인 대상을 탐색하는 데 반해 성장소설은 꿈이나 사랑 혹은 자아의 정체성 등 추상적인 대상을 탐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한편 성장 소설은 미숙한 주인공이 성숙하는 과정으로서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겪계 되는 통과 의례의 과정이 구조화되어 있는데, 그 과정은 '분리 → 전이 → 결합'의 세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러한 통과 의례의 세 단계를 거치면서 새로운 기성 사회로의 입사 양상을 보여 주는 이야기가 바로 성장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성장'의 모티브에 초점이 맞춰지기 때문에 일대기적 구성을 취하지 않고 성숙의 단계에 해당하는 시기만을 다룬다. 또한 열린 결말구조를 취하는 것이 많다. 인간의 성장이란 인생에 있어서 일회적이 아니라 계속되는 과정적 연속성의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독자에게 열려진 틈을 통해 상상력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는 가능성을 주기 위함이다.
4. 효용의 측면
성장소설은 독자들의 성장을 돕는 교육적 효과를 지닌다. 작품 속 주인공의 성장은 독자의 성장으로 이어진다. 성장 소설을 접하는 청소년들은 주인공이 새롭게 인식하고 실천해가는 모습을 보이면서 새로운 세계와 가치관을 접하고 자신과 세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된다.
5. 정리
성장소설은 성인기에 입문하지 않은 미성숙한 주인공의 성장 모습을 다룬 것으로 탐색담과 통과의례에 바탕한 입사담의 특질을 가지며, 독자들의 성장을 돕는 교육적 효과도 내포하고 있다.
'국어 개념 노트 > 개념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응중심수업모형 (0) | 2022.04.25 |
---|---|
속성중심의 문학관과 문학교육 (0) | 2022.04.25 |
[과학]지구에서 달의 한 쪽 면만 볼 수 있는 이유 (0) | 2022.04.23 |
과학 기술 철학-인간과 기술의 관계 (0) | 2022.04.22 |
[현대시] 비판적vs회의적 태도 (0) | 2022.04.19 |
댓글